진로체험지원센터란?
지역사회 내 체험처 발굴·관리 및 프로그램을 컨설팅하고, 학교에서 체험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,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 심사, 진로체험지원 자원봉사자 인력 모집·활용, 자체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을 하는 기관입니다.
진로체험 운영체계

구분 | 주요 역할 | ||
---|---|---|---|
지역사회(체험처) | 직업 현장· 멘토 제공 및 진로체험 제공 | ||
꿈 길 (www.ggommgil.go.kr) |
- 체험처 및 체험프로그램 - 관리학교 매칭을 위한 시스템 |
진로체험지원센터 | - 체험처 발굴·관리 - 체험프로그램 컨설팅 - 체험처·학교 매칭 - 센터 자체 프로그램 운영 - 진로체험지원 자원봉사자 양성, 활용, 관리 -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 인증제 심사 |
단위학교 | - 체험프로그램 신청 - 배정받은 체험프로그램 운영 |
진로체험 유형
구분유형 | 내용 | |
---|---|---|
현장직업체험 | 2~10명의 소규모로 구성된 학생들이 1일(4시간)이상 지역사회의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등 다양한 일터에서 간단한 직무를 체험하는 진로탐색 프로그램 ※실제업무체험 및 멘토인터뷰 등의 직업체험 활동을 전체 활동 시간의 50%이상 수행한 경우 |
|
직업실무체험형 | 모의 일터에서 직업체험 활동(4시간 이상) 중 실제 업무 체험 및 멘토 인터뷰 등을 전체 활동 시간의 50% 이상 수행한 경우 - 가급적 공공기관 및 청소년수련관/청소년문화의 집 등 청소년 관련 시설을 활용 - 직업인(멘토) 1인당 15명 내외의 학생이 참여한 경우 |
|
진로캠프 | 특정 장소에서 단기간에 진로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운영 (진로심리검사, 직업체험, 상담, 멘토링, 특강 등)하는 진로탐색활동(1일 6시간 이상 인정) |
|
현장견학형 | 일터(직업장), 기업체, 직업관련 홍보관, 박물관, 공공기관 등의 견학으로 나의 직업이나 진로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 정보를 수집하고 알아보는 진로탐색활동(4시간 미만의 현장직업체험활동 포함, 진로 관련 박람회 참여는 현장견학형) | |
학과체험형 | 특성화고, 대학교(원)을 방문하여 실습, 견학, 강의 등을 통해 기초적인 지식이나 기술을 학습한 경우 ※고입, 대입 진학(학교) 설명회는 포함되지 않음 |
|
직업인초청활용형 | 각 분야의 전문 직업인 초청, 대화 및 강연을 통해 직업과 인생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진로탐색 활동 - 대화형: 멘토 1인당 학급 단위(40명) 이내 규모의 활동 - 멘토 1인당 학급 단위를 초과하는 규모의 활동 |
대화형 |
강연형 |